728x90 물리치료사&필라테스 강사/운동&재활&의료정보41 [자세 교정] 아이(0-6세) O 다리, X 다리 - 교정(치료)해야 할까? 교정(치료) 해야 할까? (하지 정렬) 아이 O 다리, X 다리 아이(0-6세) 다리 100일 전에는 정신이 없어서 잘 안보이던 아이의 다리 모양이 특히 걷기 시작하면서부터 O 다리, X 다리처럼 보여 걱정하는 부모들이 많은데요. 과연 교정(치료) 해야 할까? 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아이 o 다리, x 다리 아이가 신경계 질환이나 골질환 같은 질병이 없고 정상 발달의 경우 생리학적으로 저절로 교정이 되는데요. 신생아부터 ~약 20개월까지는 아래와 같은 내반슬(o자 다리) (각도 180도 이상) 모양이 나타나고, 이후 3세경 까지는 아래와 같은 외발슬(X자 다리) 각도(168도)가 정점에 도달해요. 그리고 3세 이후~6세경까지 점차 성인의 각도인 정상 각도 170-175도가 되죠. 발의 아치도 5-6세경에.. 물리치료사&필라테스 강사/운동&재활&의료정보 2021. 11. 10. [물리 치료] 발목 접질렸을때, 병원 가야 할까? (관리 방법) 발목 접질렸을때, 병원 가야 할까? (관리 방법) 발목 인대 (발목 염좌) 정형외과를 찾는 많은 이유 중에 한 가지인 발목 염좌, 보통 발목 접질렸을때 많이 발생하죠. 발목은 이렇게 바깥-> 안쪽으로 접질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바깥쪽 인대보다 안쪽 인대가 더 강하기 때문이죠. 이 바깥쪽 부분의 발목 인대가 손상을 받게 되는데 환자분들이 방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인대는 근육과 달리 재생이 더디고 어려운 편인데 이 인대가 늘어난 상태로 계속 방치한다면? 원래 상태로 회복되기는 어렵겠죠. 그럼 늘어난 상태로 계속 있던 인대는 다시 발목을 쉽게 접질리도록 만들고 '난 발목을 잘 삐는' 사람이 되죠. 발못 접질렸을때 병원 가야할까? 병원을 가야 하는 이유는 1. 늘어난 인대는 발목관절을 잡아주지 못하고 발.. 물리치료사&필라테스 강사/운동&재활&의료정보 2021. 11. 8. [홈 필라테스] 강사 자격증 취득 - 얼마 일까? (기간, 협회 선택, 수입) 필라테스 강사 자격증 취득 얼마일까? (기간, 협회 선택, 수입) 요즘 필라테스가 자세교정과 건강에 좋은 운동이라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강사 자격증을 따려고 준비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주변에서 많이 물어보는 궁금해하는 부분에 대해서 알려 드리려고 해요. 저는 2016년도에 물리치료사 재직 중에 필라테스 자격증을 따서 강사로 일을 하고 있는데 그때보다 협회도 더 많아지고 가격도 천차만별이라 선택하기가 더 어려워 보이는데요, 일단 가장 궁금해하는 것부터 알려드릴게요. 1. 강사 자격증 취득 얼마 일까? 유명한 협회들의 경우 보통 400-600 만원대 정도가 가장 많아요. 간혹 700만 원이 넘는 경우도 보긴 했는데요, 국가공인 자격증이 아닌 만큼 더 비싸다고 무조건 좋다고는 할 수 없어요. 해부학 수업 등 여.. 물리치료사&필라테스 강사/운동&재활&의료정보 2021. 11. 7. [자세 교정] 올바른 자세 - 허리 통증 완화 방법(앉은 자세) 올바른 자세 허리 통증 완화방법 (앉은 자세) 매일 바르게 앉아있다고 생각하는데 허리가 왜 이렇게 아플까? 바른 자세,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다를 수 있을까? 허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앉은 자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나쁜자세 1. 의자가 높아 발이 땅에 닿지 않는다. 2. 의자가 너무 낮아 고관절이 많이 굽혀진다. (무릎이 골반보다 위에 있는 자세) 3. 의자 끝에 앉는다. 4. 골반을 앞으로 빼면서 뒤에 기대어 앉는다. 모두 나쁜 자세 해당하는 것이죠. 그런데 우리가 생각하는 바른 자세가 다른 분들이 있어요. 그런데 의자나 바닥에 앉아서 바른 자세를 취하라고 했을 때 가장 많이 실수하는 자세가 다음과 같은 자세예요. 이렇게 골반을 앞쪽으로 당겨 허리를 젖히고 앉은 자세예요. 필라테스 수업할.. 물리치료사&필라테스 강사/운동&재활&의료정보 2021. 11. 6. [홈 필라테스] 필라테스 호흡 방법 - 올바른 호흡 방법이 중요한 이유 필라테스 호흡 방법 올바른 호흡 방법이 중요한 이유 필라테스 호흡 근원 필라테스 첫 수업을 하면 모든 강사들이 모두 호흡을 강조하는데요, 그런데 호흡, 왜 그렇게 강조하는 걸까요? 근원부터 알아보면 필라테스 창시자 '조제프 휴벌터즈 필라테스'는 1차 세계대전 당시 수용소에서 호흡을 이용한 매트 운동을 하면서 건강 회복 프로그램을 만들어 독감으로 많은 사람이 죽어 나가던 당시에 수천 명의 수용소 사람들은 죽은 사람이 한 명도 없었다고 하는데요. 그분의 말을 간단히 요약하면, "호흡을 내쉬면 폐는 신선한 공기로 가득 채워집니다. 결국 인체의 활력을 만드는 산소가 인체 곳곳으로 보내지게 되며 인체는 더 큰 활동을 할 수 있게 됩니다." ..... 1차 세계대전 때의 얘기는 와닿지도 않고 우리는 지금 21세기를.. 물리치료사&필라테스 강사/운동&재활&의료정보 2021. 11. 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