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아이 경제 교육7 [자녀 교육] 학부모들이 사교육에 돈을 쓰는 이유 학부모들이 사교육에 돈을 쓰는 이유 아이 경제 교육 우리나라 사교육 비용 우리나라 사교육비용은 매년 통계청에서 조사 발표 하고 있으며 2021년 기준 월평균 사교육비는 1인당 36만 7천 원, 사교육 참여 학생 기준으로 48만 5천 원, 70만 원 이상을 지출하는 학생도 적지 않았다. 부모들이 아이들 사교육에 돈을 엄청나게 쓰는 이유가 무엇일까? 1. 학교 수업보충(44.3%) 2. 선행학습(25.2%) 3. 진학준비(14.4.%) 4. 불안심리(10.8%) -자본주의 사용설명서 中 조사 결과는 이렇게 나왔지만 사실 학력위주의 우리나라 사회에서 남들은 다 시키는데 내 아이만 뒤처지는 것 같은 불안감으로 인해 사교육을 시키거나 친구들이 모두 학원을 가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실제 학력이 연봉의 ..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3. 1. 7. [자녀 경제 교육] 부모의 소득, 카드와 빚-소득과 위험 관리 알려주기 부모의 소득, 카드와 빚 소득과 위험관리 알려주기 {자녀 경제 교육} "아이가 필요할 때마다 돈을 준다면 아이의 독립성은 보장 할수 없다." 돈은 지식으로 배우는것이 아니라 습관화시키는 것이다. 용돈을 다 사용하고 더 필요한곳이 있을 때는 아이의 심부름에 대한 노동력 대가로 일정한 금액을 주는 것이 좋다. 자신이 직접 벌어봐야 돈이 아까운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아이들은 지금 부모의 세대와는 또 다르다. 없어서 사지못하는 시대가 아니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만큼 돈을 쓸 수 없다는 인식 자체가 부족하고 소비문화에 길들여져 있다. 학년이 올라가고 주변 친구들이 가진것을 나도 가져야 하는 나이가 될수록 아이들은 부모 주머니에서 무조건 돈이 나온다고 생각한다. 어려서 자기 집의 재정상태가 어떤지 아는..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3. 1. 6. [자녀 경제 교육]아이가 용돈을 쓰는 방법 아이가 용돈을 쓰는 방법 아이 경제 교육 아이에게 용돈을 줘야 한다는것은 알지만 그 용돈을 어떻게 쓰도록 해야 할까? 미국에는 '머니 세이비 제너레이션' 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돈을 어떻게 관리하고, 저축하고, 기부하고, 투자할지를 배우는 미국 시카고 공립학교에서 운영되는 금융교육 프로그램이다. 스스로 돈 관리를 하기 위해서 학습장과 저금통을 나누어 저축, 소비, 기부, 투자의 개념을 이해 시키는 것이다. 돼지 저금통과 학습장의 개념을 설명해 주고 돈의 사용 용도를 설명해준다. "필요한 장난감과 물건을 돈으로 살 수 있다." "필요한 물건을 위해서는 돈을 모으고 저축해야 한다." 그리고 기부하는 방법도 알려주고 어떻게 쓰는지도 알려준다. => 돈에 대한 책임감을 배운다. 아이에게 이러한 금융교육을 할 ..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3. 1. 6. [아이 경제 지식] 아이 목돈을 어떻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유대인 방법) 아이 목돈 어떻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아이 경제 지식 아이에게 올바른 경제관념 알려주기 아이는 아주 어릴 적 부터 가족들과 친척들 여러사람들로 부터 용돈을 받는다. 보통 그 돈은 부모님에게 저장(?)되고 아이가 돈에 대해서 알 수 있을 때까지 보관한다고 생각한다. '20살이 되면 돌려 주어야지.' '학교 다닐 때 필요한 것을 사주어야지.' 이렇게 받을 수라도 있으면 참 다행이다. 아이가 자라서 "엄마 나 어릴 때 받은 돈 모은 거 없어?" "너 키우는데 다 썼지." "어릴 때 다 뺏어갔잖아." "뺏어가다니, 너 키우는데 돈이 한두 푼 들었는 줄 아니?" 틀린 말은 아니지만 아이에게는 명절마다 빼앗긴 돈이 너무나도 억울할 것이다. 이런 경우를 제외하고 만약 돈을 모았다면, 이 돈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2. 10. 3. [자녀 경제 교육] 유대인들은 아이에게 자선부터 가르친다 (경제 교육 첫걸음) 유대인들은 아이에게 자선부터 가르친다 자녀 경제교육 아이에게 올바른 경제관념 알려주기 유대인들은 돈을 쓰는 법부터 가르친다. 돈을 잘써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이야기이다. 근데 그 돈을 어떻게 쓰는가에 대해서 생각해 본적이 별로 없을 것이다. 무작정 아이에게 돈을 모으고 아껴 쓰라고 하면 될까? 어른들도 목적이 있는 돈은 잘 모으게 된다. 집 마련 통장과 차 구매 통장, 생활비 통장, 적금 통장들도 여러 개로 쪼개어서 모으게 되면 목적의식이 분명하기 때문에 돈을 모으는데 더 강력한 동기 부여를 제공한다. 그런데 아이들에게는 그런 목적 없이 돈을 모으라고 하면 자기 손으로 돈을 벌지도 않는 아이가 돈을 왜 모아야 하는지 납득할 수 있을까? 유대인들의 자녀 경제 교육 첫 번째는 바로 돈을 쓰는 방법 즉 ..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2. 9. 27. [아이 경제 교육] 아이에게 부자인척 하지마라(아이에게 올바른 경제 관념 알려주기) 아이에게 부자인척 하지 마라 아이 경제 교육 아이에게 올바른 경제관념 알려주기 우리는 흔히 내 아이에게 '부자인척'을 한다. 실제 부자도 아이에게 부자라는 것을 알게 하고, 실제 부자가 아닌 사람들도 아이에게 풍족하게 돈을 쓴다. 대부분의 일반가정에서도 자신들이 사고 싶은 것을 마음껏 사고 아이들이 주눅 들고, 돈걱정을 하게 만드는 것을 아주 싫어해 웬만하면 원하는 것을 모두 사주려고 한다. 독립할 때까지도 필요한 모든 것을 해준다. 그런 아이가 성인이 돼서 자기 손으로 돈을 번다고 해서 '지금부터는 아끼고 소비를 절제해야겠다.' 라고 생각한다면 아주 큰 착각이다. 설사 자기의 집이 부자라 하더라고 아이에게는 부자라는 사실을 모르게 하는 것이 좋다. 아이 경제 교육 워런 버핏은 [부의 대물림으로 인한 부..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2. 9. 25. [아이 경제 관념] 협상전략으로 OO하지마라(아이에게 올바른 경제 관념 교육) '협상전략의 일환으로 OO 하지 마라' 아이 경제관념 아이들은 5살 때부터 경제에 대한 교육이 가능한데요, 어려운 경제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돈을 사용해야 하고 절제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게 해야 하죠. 경제에 대한 교육이 없다면 어떻게 돈을 벌어야 하고 돈을 소비해야 하는지를 모르는 체 성인이 됩니다. 나이가 든다고 저절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죠.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근거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아이에게 이런 말을 자주 하게 됩니다, "너 말 안 들으면 장난감 못사" 조금 더 커도 .... "시험 90점 넘으면 휴대폰 사줄게" 아주 어릴 때부터 학생, 성인이 될 때까지도 이러한 협상을 자주 하게 됩니다. 바로 협상할 때 현금이나..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2. 9.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