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몸무게, 출산 후 몸무게,
산후 체중 관리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겸 필라테스 강사
나으리입니다.
임산부와 산모들의 고민거리 중 하나인
몸무게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나요?
적정체중은 얼마이고
어느 정도 영양소를 섭취해야 할까요?
모두가 임신을 하고 나서는
잘 먹어야 된다고 이야기하고
두 명의 몫을 먹어야 된다고 생각해서
음식을 평상시 보다 더 잘 챙겨 먹게 되죠.
아이의 영양을 위해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고
잘 먹는 것이 중요하지만
너무 과하게 먹고 있는 건 아닌지
체중은 늘어나고
출산 후에도 산모들을
너무 괴롭게 합니다.
출산후 가장 스트레스
받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살에 대한 스트레스입니다.
출산후 스트레스
임신 5개월이 될 때까지
아기는 휴대폰보다도
작은 사이즈입니다.
임신 초기에 찌는 살은
태아를 위한 것이 아니라
산모가 그대로 흡수하는
살로 되는 것이죠.
예전처럼 못 먹는 시대가 아니라
영양이 과잉한 시대를 살고 있기에
너무 과하게 음식을 섭취하지는 않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요.
<임산부의 적정 몸무게>
임신기간 보통은 10-12KG 정도의
체중 증가가 일어나고,
만약 임신기간에 15KG이 넘는다면
과체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평균 체중 13.6KG 체중 증가
를 보인다고 하네요.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임신 중 체중 증가가 많은 편입니다.
출산 후에도 보통 4.-5KG의 체증 증가가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체중이 느는 것은
살에 대한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허리에도 엄청난 부담이 됩니다.
과도한 체중 증가는
산모아와 태아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고
출산 후 체중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도
적절한 몸무게를 유지하는 것이 좋겠지요.
그렇지만 임산부가 다이어트를 위해
영양소를 너무 적게 섭취한다면
태아의 성장, 발달에 문제가 되고
아이의 비만과 성인병이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요즘은 대부분 영양과잉이 많아
산후에도 체중 증가가
계속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삼시세끼 미역국과 고기등의
각종 동물성 고단백 음식을
많이 섭취하게 되죠.
미역국이 산후에
좋은 음식은 맞지만
계속해서 한 가지 음식을
많이 먹는 것보다는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미역국만 계속해서 먹는다면
요오드 과잉 섭취로 갑상성호르몬에
영향을 줄수 있어서
과도하게 미역국만 섭취하는것은
좋지 않을수 있습니다.
산후에는 특히나
철분, 칼슘, 단백질, 비타민, 수분이
부족하므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해주세요.
<산후 적정 칼로리>
산모는 평소 양의 300-500Kcal를 더 섭취하고
모유수유의 경우 500Kcal를 더 섭취하면 됩니다.
모유수유를 하지 않을 때는 200Kcal 정도
더 먹어도 충분하다고 합니다.
산후 체중 관리
임신기간중에도
먹는양보다는 음식의 종류가 중요한데요,
혈당이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단백질과 지방이 결합된 복합탄수화물이 좋은데
이 탄수화물을
시리얼,흰빵,도넛, 튀김,케익,쿠키,과자
등의 형태로 섭취한다면
혈당을 더 빨리 떨어뜨리고
배고픔을 더 느끼게 해 과식을 하게 될수 있어요.
따라서 현미,통곡물빵,콩,두부로
섭취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산후에도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출산 후 24시간 이후부터는
움직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아요.
호흡운동부터 시작해
간단한 스트레칭과
가벼운 걷기는
회복을 빠르게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우리 몸은 체중이 3개월 이상
유지될 경우에 계속해서
그 체중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가지기 때문에
(생리적 체중 조절점)
나쁜 식습관은 조절 하는 것이 좋지만
일반인이 다이어트를 할때처럼
산후 6개월 이내에 체중이 급격하게
빠지는 것도 건강한 상태는 아니라고
연구자들은 이야기합니다.
임신기간부터 산후까지 이어지는
규칙적인 운동은
산후의 체중에 영향을 미치므로
꾸준하고 규칙적인 운동이 중요합니다.
산후에도 영양가 있지만
너무 과하지 않은 식습관과
운동으로 너무 오랜 시간 과체중에
머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산후에 살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겠죠.
참고-산후조리 100일의 기적
'물리치료사&필라테스 강사 > 산후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의 운동 주의사항, 금기사항, 운동의 장점 (0) | 2022.11.24 |
---|---|
임신 중 호르몬 변화가 어떤 영향을 미칠까? (0) | 2022.11.23 |
[산욕기 건강] 출산후 신체 트러블(훗배앓이, 오로, 산욕열, 요실금, 탈모) (0) | 2022.11.21 |
[산후 조리] 산후 통증, 산후풍이란 무엇일까?(뜻, 증상, 원인, 치료) (0) | 2022.11.13 |
[산후 필라테스] 제왕절개후 운전은 언제부터 할수 있을까? (0) | 2022.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