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치료사&필라테스 강사/산후 건강

[산욕기 건강] 출산후 신체 트러블(훗배앓이, 오로, 산욕열, 요실금, 탈모)

1end1 나으리 2022. 11. 21.
728x90

출산 후 신체 트러블

훗배앓이, 오로, 산욕열, 요실금, 탈모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겸 필라테스 강사

나으리입니다.

 

출산 후 산욕기 기간에 

나타날 수 있는 신체 트러블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출산후 훗배앓이, 오로, 산욕열,

요실금, 탈모, 젖몸살,체온유지

 

1. 훗배앓이(출산 직후-1주일)

출산 후에 자궁이 원래 크기로 

되돌아가기 위해서 자궁이 수축하면서 

생기는 아랫배 통증을 말합니다.

모유수유의 경우에는

옥시토신 분비로 인해 

통증이 조금 더 심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훗배앓이가 있을 때는 

운동은 하지 않고 충분히 휴식하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따듯한 찜질과 마사지가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제왕절개의 경우 

상처부위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출처-게티이미지뱅크

2. 오로(출산 직후-4주)

자궁의 점막 조직과 혈액 등의 

분비물이 나오는 현상으로 

출산 3-4일까지 붉은색 오로

점차 갈색으로 변하면서 양이 줄어듭니다.

제왕절개보다는 자연분만이 

오로의 양이 조금 더 많을 수 있어요.

 

3. 산욕열(출산 후-2,3일)

출산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세균 감염이 되어 열이 나는 것으로

오한과 38도 이상의 체온상승이 일어나며,

이때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저절로 정상으로 되돌아 오지만 

체온이 떨어지지 않거나 심할 때는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출처-헬스경향

4. 요실금

늘어난 골반근육과 회음부로 인해 

소변이 새는 일이 발생할 수 있어요.

가벼운 증상이 아니기 때문에 

증상이 지속된다면

전문가와 상담하거나 

골반저근을 훈련할 수 있는 

운동강사와 함께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탈모(출산 후 한두 달-1년까지)

호르몬 분비가 줄어들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6개월에서 1년까지 서서히 

정상적으로 회복되어 갑니다.

두피에 자극을 최소화하고 

영양제를 쓰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출처-정책브리핑

6. 젖몸살

출산하고 아이를 낳는 것만큼 

통증이 심하다고도 이야기하는 

젖몸살은

젖이 유선을 막으면서 유방이 

딱딱해지고 가슴에 통증을 느낄 수 있어요.

자주 마사지를 하면서 

젖을 짜내는 것이 좋고

유선이 아예 막히는 경우도 있어 

심할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아요.

 


출산 후 나타날 수 있는

신체적 현상이므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서서히 정상적으로 되돌아오는 

증상들이 대부분입니다.

너무 겁을 내거나

심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셔도 돼요.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건강을 관리하시면 

천천히 회복되는 것을

느끼실 수 있을 거예요.

 

하지만 너무 장기간 지속되거나 

이상함을 느끼신다면 

아이를 케어하느라

자신을 돌보는 시간이 부족하겠지만 

그래도 병원을 방문하여 

상담을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산후 체온 유지 

산후에는

몸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죠.

하지만 여름에 출산을 할 경우 

기모원단의 옷이나 내복 

수면양말까지 꽁꽁 싸매면서 

땀을 계속해서 흘리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합니다.

 

찬바람을 쐬거나 

에어컨을 사용하라는 것이 아니라 

조심을 하되 너무 과하게 

꽁꽁 싸매는 것은 

불필요하므로 

여름 출산의 산모들이 

불편할 정도로 더운상태를 

유지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죠.

 

땀이 식으면서 체온 열을 

뺏어가기 때문에 

항상 몸이 보송보송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긴 옷을 입더라도 얇은 옷을 입고 

속옷도 땀이 젖을 경우

자주 갈아입는 것이 좋습니다.

 

찬물에 한번 손을 담그고 

찬바람을 한번 쐬는 것으로

체온이 떨어지는 것보다

갑작스러운 체온 변화에 가장 

큰 원인은 땀이라고 합니다.

 

몸이 차가워지는 것을

크게 걱정하는 

어른들이 많기 때문에 

여름에도 겨울옷을 입어야 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을 거  같아요.

 

따듯하게 하는 것은 좋지만 

땀이 과하게 흘리지 않을 정도로 

보온을 신경 써주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구글 이미지

 

 

 

참고-산후조리 100일의 기적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