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자녀 경제 교육6 [자녀에게 주식] 가장 확실한 경제 교육방법 주식 상속( feat.주식농부 박영옥) 가장 확실한 경제 교육 방법 주식 상속 -주식 농부 박영옥 {자녀에게 주식 상속} 많은 분들이 아이에게 주식을 알려 주고 싶고 주식을 사주고 싶어 하는 부모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주식을 사는 방법도 어떤 주식을 사야 하는지도 잘 모르고 무조건 삼성전자만 사서 물려주겠다 하는 분들도 주변에 많이 보인다. 미성년자의 고객계좌는 해마다 늘고 있다. 저자 박영옥님은 삼성전자도 물론 좋은 기업이지만 모두가 좋은 기업인지 아는 기업의 주가가 저평가될리는 없다고 한다. 부모가 잘 알고 있어야 아이에게 주식을 증여할 수도 있다. 부모가 모르는 주식을 아이에게 무조건 하라고 할수도 없는 일이다. 자녀에게 주식을 알려 주려면 부모가 먼저 경제공부가 되어야 한다. 자녀에게 경제를 알려주는 가장 좋은 ..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3. 2. 2. [자녀 경제 교육] 부모의 소득, 카드와 빚-소득과 위험 관리 알려주기 부모의 소득, 카드와 빚 소득과 위험관리 알려주기 {자녀 경제 교육} "아이가 필요할 때마다 돈을 준다면 아이의 독립성은 보장 할수 없다." 돈은 지식으로 배우는것이 아니라 습관화시키는 것이다. 용돈을 다 사용하고 더 필요한곳이 있을 때는 아이의 심부름에 대한 노동력 대가로 일정한 금액을 주는 것이 좋다. 자신이 직접 벌어봐야 돈이 아까운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아이들은 지금 부모의 세대와는 또 다르다. 없어서 사지못하는 시대가 아니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만큼 돈을 쓸 수 없다는 인식 자체가 부족하고 소비문화에 길들여져 있다. 학년이 올라가고 주변 친구들이 가진것을 나도 가져야 하는 나이가 될수록 아이들은 부모 주머니에서 무조건 돈이 나온다고 생각한다. 어려서 자기 집의 재정상태가 어떤지 아는..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3. 1. 6. [자녀 경제 교육]아이가 용돈을 쓰는 방법 아이가 용돈을 쓰는 방법 아이 경제 교육 아이에게 용돈을 줘야 한다는것은 알지만 그 용돈을 어떻게 쓰도록 해야 할까? 미국에는 '머니 세이비 제너레이션' 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돈을 어떻게 관리하고, 저축하고, 기부하고, 투자할지를 배우는 미국 시카고 공립학교에서 운영되는 금융교육 프로그램이다. 스스로 돈 관리를 하기 위해서 학습장과 저금통을 나누어 저축, 소비, 기부, 투자의 개념을 이해 시키는 것이다. 돼지 저금통과 학습장의 개념을 설명해 주고 돈의 사용 용도를 설명해준다. "필요한 장난감과 물건을 돈으로 살 수 있다." "필요한 물건을 위해서는 돈을 모으고 저축해야 한다." 그리고 기부하는 방법도 알려주고 어떻게 쓰는지도 알려준다. => 돈에 대한 책임감을 배운다. 아이에게 이러한 금융교육을 할 ..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3. 1. 6. [자녀 경제 교육]아이에게 용돈은 언제부터 주어야 할까? 아이에게 용돈은 언제부터 주어야 할까? 아이 경제 교육 아주 기본적인 경제 개념은 어린아이에게도 가르칠 수 있다. 미국에서는 6-8세가 되면 용돈을 모으라고 하고 부모는 일주일에 한 번씩 용돈을 준다. 지금 당장 쓰지 않으면 나중에 돈이 많아 진다는 근본적인 가르침을 주어야 한다. 언젠가는 아이들도 어른이 되어 자신의 돈을 관리하고 운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단순히 돈이 얼마인지를 안다고 하서 아이가 돈을 안다고 할 수는 없다. 아이게에는 부모가 먹을 것과 사고 싶은 장난감 , 옷등 필요한 모든 물건을 사주기 때문에 아이는 자신에게 돈이 생기면 어디에 어떻게 써야 하는지 알지를 못한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서도 아마 똑같을 것이다. 고작해봐야 적금 통장 만들어주고 명절 때 받은 돈 저금해라 정도일 것이..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3. 1. 5. [아이 경제 지식] 아이 목돈을 어떻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유대인 방법) 아이 목돈 어떻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아이 경제 지식 아이에게 올바른 경제관념 알려주기 아이는 아주 어릴 적 부터 가족들과 친척들 여러사람들로 부터 용돈을 받는다. 보통 그 돈은 부모님에게 저장(?)되고 아이가 돈에 대해서 알 수 있을 때까지 보관한다고 생각한다. '20살이 되면 돌려 주어야지.' '학교 다닐 때 필요한 것을 사주어야지.' 이렇게 받을 수라도 있으면 참 다행이다. 아이가 자라서 "엄마 나 어릴 때 받은 돈 모은 거 없어?" "너 키우는데 다 썼지." "어릴 때 다 뺏어갔잖아." "뺏어가다니, 너 키우는데 돈이 한두 푼 들었는 줄 아니?" 틀린 말은 아니지만 아이에게는 명절마다 빼앗긴 돈이 너무나도 억울할 것이다. 이런 경우를 제외하고 만약 돈을 모았다면, 이 돈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2. 10. 3. [자녀 경제 교육] 유대인들은 아이에게 자선부터 가르친다 (경제 교육 첫걸음) 유대인들은 아이에게 자선부터 가르친다 자녀 경제교육 아이에게 올바른 경제관념 알려주기 유대인들은 돈을 쓰는 법부터 가르친다. 돈을 잘써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이야기이다. 근데 그 돈을 어떻게 쓰는가에 대해서 생각해 본적이 별로 없을 것이다. 무작정 아이에게 돈을 모으고 아껴 쓰라고 하면 될까? 어른들도 목적이 있는 돈은 잘 모으게 된다. 집 마련 통장과 차 구매 통장, 생활비 통장, 적금 통장들도 여러 개로 쪼개어서 모으게 되면 목적의식이 분명하기 때문에 돈을 모으는데 더 강력한 동기 부여를 제공한다. 그런데 아이들에게는 그런 목적 없이 돈을 모으라고 하면 자기 손으로 돈을 벌지도 않는 아이가 돈을 왜 모아야 하는지 납득할 수 있을까? 유대인들의 자녀 경제 교육 첫 번째는 바로 돈을 쓰는 방법 즉 ..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2. 9.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