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아이에게 경제 교육4 [자녀 경제 교육] 부모의 소득, 카드와 빚-소득과 위험 관리 알려주기 부모의 소득, 카드와 빚 소득과 위험관리 알려주기 {자녀 경제 교육} "아이가 필요할 때마다 돈을 준다면 아이의 독립성은 보장 할수 없다." 돈은 지식으로 배우는것이 아니라 습관화시키는 것이다. 용돈을 다 사용하고 더 필요한곳이 있을 때는 아이의 심부름에 대한 노동력 대가로 일정한 금액을 주는 것이 좋다. 자신이 직접 벌어봐야 돈이 아까운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아이들은 지금 부모의 세대와는 또 다르다. 없어서 사지못하는 시대가 아니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만큼 돈을 쓸 수 없다는 인식 자체가 부족하고 소비문화에 길들여져 있다. 학년이 올라가고 주변 친구들이 가진것을 나도 가져야 하는 나이가 될수록 아이들은 부모 주머니에서 무조건 돈이 나온다고 생각한다. 어려서 자기 집의 재정상태가 어떤지 아는..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3. 1. 6. [자녀 경제 교육]아이가 용돈을 쓰는 방법 아이가 용돈을 쓰는 방법 아이 경제 교육 아이에게 용돈을 줘야 한다는것은 알지만 그 용돈을 어떻게 쓰도록 해야 할까? 미국에는 '머니 세이비 제너레이션' 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돈을 어떻게 관리하고, 저축하고, 기부하고, 투자할지를 배우는 미국 시카고 공립학교에서 운영되는 금융교육 프로그램이다. 스스로 돈 관리를 하기 위해서 학습장과 저금통을 나누어 저축, 소비, 기부, 투자의 개념을 이해 시키는 것이다. 돼지 저금통과 학습장의 개념을 설명해 주고 돈의 사용 용도를 설명해준다. "필요한 장난감과 물건을 돈으로 살 수 있다." "필요한 물건을 위해서는 돈을 모으고 저축해야 한다." 그리고 기부하는 방법도 알려주고 어떻게 쓰는지도 알려준다. => 돈에 대한 책임감을 배운다. 아이에게 이러한 금융교육을 할 ..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3. 1. 6. [자녀 경제 교육]아이에게 용돈은 언제부터 주어야 할까? 아이에게 용돈은 언제부터 주어야 할까? 아이 경제 교육 아주 기본적인 경제 개념은 어린아이에게도 가르칠 수 있다. 미국에서는 6-8세가 되면 용돈을 모으라고 하고 부모는 일주일에 한 번씩 용돈을 준다. 지금 당장 쓰지 않으면 나중에 돈이 많아 진다는 근본적인 가르침을 주어야 한다. 언젠가는 아이들도 어른이 되어 자신의 돈을 관리하고 운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단순히 돈이 얼마인지를 안다고 하서 아이가 돈을 안다고 할 수는 없다. 아이게에는 부모가 먹을 것과 사고 싶은 장난감 , 옷등 필요한 모든 물건을 사주기 때문에 아이는 자신에게 돈이 생기면 어디에 어떻게 써야 하는지 알지를 못한다.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서도 아마 똑같을 것이다. 고작해봐야 적금 통장 만들어주고 명절 때 받은 돈 저금해라 정도일 것이..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3. 1. 5. [아이 경제 교육] 아이에게 부자인척 하지마라(아이에게 올바른 경제 관념 알려주기) 아이에게 부자인척 하지 마라 아이 경제 교육 아이에게 올바른 경제관념 알려주기 우리는 흔히 내 아이에게 '부자인척'을 한다. 실제 부자도 아이에게 부자라는 것을 알게 하고, 실제 부자가 아닌 사람들도 아이에게 풍족하게 돈을 쓴다. 대부분의 일반가정에서도 자신들이 사고 싶은 것을 마음껏 사고 아이들이 주눅 들고, 돈걱정을 하게 만드는 것을 아주 싫어해 웬만하면 원하는 것을 모두 사주려고 한다. 독립할 때까지도 필요한 모든 것을 해준다. 그런 아이가 성인이 돼서 자기 손으로 돈을 번다고 해서 '지금부터는 아끼고 소비를 절제해야겠다.' 라고 생각한다면 아주 큰 착각이다. 설사 자기의 집이 부자라 하더라고 아이에게는 부자라는 사실을 모르게 하는 것이 좋다. 아이 경제 교육 워런 버핏은 [부의 대물림으로 인한 부.. 독서/아이에게 경제 알려주기 2022. 9.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