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책 독후감

[자기계발서]상상하지 말라-송길영(트렌드 이해하기 위한 책 추천)

1end1 나으리 2022. 11. 9.
728x90

상상하지 말라

송길영


상상하지 말라

목차

출처-네이버 도서 참고

송길영
마인드 마이너
데이터는 정보를 제공해줄 뿐
판단은 사람이 하는 것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람들의 마음을 읽는 일을 한다고
마인드 마이너라고 지칭한다.

{상상하지 말라}
1장 허상:
당신의 상식은 상식이 아니다

기업이 생각하는 하는 상식과
실제에는 얼마나 차이가 있을까?

1인 가구가 늘어 남에 따라
TV 회사는 작고 저렴한 TV가
잘 팔릴 것으로 생각했지만
빠듯한 재정에도 불구하고
싱글들은 큰 모니터를
더 많이 구매했다고
데이터는 말했다고 한다.

유일한 휴식 시간인
집에서 큰 화면으로 생동감 있는
영상을 보는 것이 즐거움인
사람이 더 많아서 이기도 하고
기혼자들보다 미혼자들이
자신들을 위해서 돈을 더 자유롭게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기업이 상상하는 것과
실제 구매 고객이
다른 경우가 많다.

송길영 마인드 마이너님은
"매출 부진의 이유가
기술력이 떨어져서가 아니라
상대방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
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마케팅은 사람들의
욕망을 들여다봐야 한다.

그래서 자신이 가진 상식을 적용하기보다는
함부로 상상하지 말고 관찰하라.

변화하는 세상에서
우리가 이미 알던 것은 과거이고
관찰하여 인정하자.

{상상하지 말라}
2장 관찰;
상상하지 말고 관찰하라

"우리의 삶 안에 이미 내재돼 있어서
톡 건드려주면 터질 것 같은
욕망을 건드리는 아이템이어야
성공할 수 있다."

처음부터 브랜드를 알리기보다는
제품의 효용을 먼저 알리고
남들과 똑같은 것은 가치가 없으니
어떻게든 달라야 하고
차별화시켜야 한다.
송길영 마인드 마이너님은
자신을 잘 기억시키기 위해
머리를 길렀다고 한다.

{상상하지 말라}
3장 변주;
지금의 상식을 차용하라

직업을 선택할 때 조건 3가지
1. 사회적으로 유용한가
2. 내가 잘할 수 있는가
3. 남이 할수 없는 일인가

20년 안에 사라질 직업
1. 콜센터 상담직
2. 회계사
3. 소매판매업
4. 저널리스트
5. 부동산 중개인

20년 안에 사라질 직업에는
대부분 컴퓨터가 대체할 수 있는 일로

우리가 직업을 선택할 때는
많이 경험이 필요해서
계량화 할 수 없는
직업을 선택해야 한다.

{상상하지 말라}
4장 통찰;
보고도 모르는 것을 보라

데이터 자체는
아무런 통찰이 없기 때문에
그것을 통찰 할 수 있는
사람의 역량이 중요하다.

데이트를 분석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송길영 마인드 마이너님은
"책을 많이 읽으라"
인문학적 소양이
데이터를 분석하고
생각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정보는 이미 인터넷에 넘쳐나기에
관찰하고 읽고 고민하는 것이
우리가 할수 있는 일이다.

{상상하지 말라}
5장 배려;
이해하라 그러면 배려하게 된다

"고민의 총량을 늘려야 한다.
고민의 총량이 부가가치가 된다."

지금 편한 직장은
길게 보았을 때는
결코 좋은 직장이 아니다.

또한 팔려고 하는 것은
목적이 판매이지 배려가 아니므로
우리는 팔려고 해서는 안되고
희귀해야 가치가
유지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에필로그}

"비즈니스란 결국 가치를 만드는 것
이것을 사용하는 사람에 대한
애정을 갖고 고민하면
배려할 수 있다.
배려받은 사람은 만족하고
가치의 선순환이 일어난다."

상상하지 말라 내용중


{상상하지 말라}
빅데이터 분석과
그것을 해석하는 내용과
어떻게 마케팅과
기업에 사용되는지에 대한
예시가 많이 나와있었다.

우리가 앞으로 미래에는
어떻게 해야 하고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잘 알기 위해서는
분명히 필요 한일 같았다.

그렇지만 송길영 마인드 마이너님은
데이터에 집착하기보다는
일상의 주변 사람들을 잘 관찰하고
배려하면 된다고 한다.

삼 프로 TV에서 송길영 님이
이야기했던 일화이다.

한 대기업에서 강연을 하는데
50대 임원에게 이렇게 하는 것이
젊은 사람들과 소통하는 방법이고
여러 가지를 이야기해주었지만
그분은 "이렇게 하는 게 더 능률적인데요?"
라는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이야기가
전달되지 못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시대가 빠르게 변하고
젊은 소비의 주체(20-49)를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면
기업이 살아 남기는 쉽지 않다고 한다.

또한 상하 수직관계에서
젊은 사원들은 더욱더
목소리를 내기가 쉽지 않고
대부분의 CEO는 50대가 많기에
사원들에게 결정을 맡기는 것이
더 기업에는 득이 될 때가 많다고 한다.

내가 나이가 더 많다고
경력이 더 많다고
직급이 더 높다고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 취급을 하면서
아무 이야기도 듣지 않는 건 아닌지
생각을 해보아야 한다고 한다.

꼰대가 되지 않는 게
젊은 사람들에게
괄시받지 않기 위해서라기보다는
트렌트를 이해하고
자신이 하는 일에서도
성공하기 위해서는
마인드를 열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자신의 생각만 고집해서는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관찰할 수가 없다.

세상과 직업, 사업, 마인드에 있어서
새로운 관점을 보게 해주는 책이고
예를 많이 들어서 이해가 쉽고
신선했던 책이다.


자기 계발서
마인드마이너
송길영 책
빅데이터
출처-북스톤

728x90

댓글